분류 전체보기(16)
-
DNA 복제 메커니즘: 유전정보의 정확한 전달을 위한 정교한 과정
생명은 어떻게 DNA를 오류 없이 복제하는가?DNA 복제(DNA replication)는 생명체가 세포 분열을 통해 유전 정보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 복제 과정은 놀라울 정도로 정밀하게 작동하며, 수많은 효소들과 보조 단백질들이 협력하여 한 치의 오차 없이 유전체를 복제합니다. 본 글에서는 DNA 복제의 구조적 원리, 효소 작용, 진핵세포와 원핵세포 간 차이, 그리고 복제 오류와 복구 기전에 대해 상세히 다루겠습니다.DNA 복제의 기본 원리: 반보존적 복제DNA는 이중 나선(double helix)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제는 이 두 가닥이 분리되면서 시작됩니다. 복제는 반보존적(semiconservative)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새로운 DNA..
2025.05.17 -
에피제네틱스: DNA를 바꾸지 않고 유전 형질을 조절하는 과학
동일한 DNA를 가진 세포가 서로 다른 형질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일까?DNA는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분자로, 전통적으로 유전자 서열이 형질을 결정한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같은 DNA를 가진 세포들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환경이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키며, 염기서열이 바뀌지 않아도 유전 정보가 세대를 넘어 전달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에피제네틱스(Epigenetics)라는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에피제네틱스는 DNA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며, 암, 노화, 신경 질환, 발달 등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에피제네틱스의 정의와 핵심 개념에피제네틱스는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조절 메커니..
2025.05.17 -
계통수: 생명의 진화사를 시각화하는 과학
생물 간의 ‘진짜 관계’를 계통수는 어떻게 밝혀내는가?계통수는 생물분류학에서 생명체 간의 진화적 관계를 시각화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유전 정보와 형태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물군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어떻게 분기되어 왔는지를 보여줍니다. 계통수는 생물다양성의 기원을 이해하고, 종 분화 및 진화 경로를 추론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현대 생물학 거의 모든 분야와 연결되어 있습니다.계통수의 기본 구조와 해석 방법계통수는 가지 모양의 도식으로 진화 경로를 나타냅니다. 기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 요소설명노드하나의 생물군 또는 조상을 나타냄가지진화적 변화가 일어난 경로뿌리공통 조상을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지점분기점새로운 생물군으로의 분화가 발생한 지점 계통수는 클라도그램(cladogram), ..
2025.05.16 -
종 개념의 진화: 생물분류학의 가장 깊은 난제
하나의 종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종은 생물분류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지만, 그 개념은 생물학 전 분야에서 가장 복잡하고 논쟁적인 주제 중 하나입니다. 수백 년 동안 생물학자들은 종이 무엇인지 정의하려 했으며, 진화론의 정립, 유전학의 발달, 분자생물학의 등장에 따라 종의 기준은 계속 변화해왔습니다. 종 개념은 단순한 분류의 도구를 넘어, 생물다양성과 진화의 역학을 이해하는 핵심 열쇠입니다.고전적 종 개념: 생식적 격리에 의한 정의20세기 중반 등장한 **생물학적 종 개념(Biological Species Concept, BSC)**은 가장 널리 알려진 정의 중 하나입니다. 이 개념에 따르면, 종이란 “자연 상태에서 실제로 또는 잠재적으로 교배가 가능하고, 다른 집단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된 개체군”입니..
2025.05.16 -
분자계통학: 생물분류학의 유전적 나침반
분류의 정밀도를 높이는 분자계통학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분자계통학은 유전적 서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물 간의 진화적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형태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진화적 기원과 유전적 거리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며, 현대 생물분류학의 중심 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분자계통학은 진화의 계보를 정량적이고 과학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생물다양성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열쇠입니다.분자계통학의 등장과 패러다임 전환20세기 중반 DNA 구조의 발견과 함께 생물학은 분자 수준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등장한 분자계통학은 돌파구 역할을 하며, 생물을 분류하는 데 있어 형태 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게 됩니다.1960~70년대의 단백질 서열 분석을 시작으로 D..
2025.05.16 -
분류학과 계통학 : 종의 명명법, 분류학적 체계, 다섯 개의 계
사람들은 모든 사물을 분류하기 좋아한다. 그러나 생물을 분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어떠한 기준으로 분류의 칸을 만들 것인지, 그리고 거기에 무엇을 넣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물체가 매우 다양하다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그 일부를 이미 언급한 바 있다. 한 동물이 다른 동물과 얼마나 달라야 서로 분류되는 각각의 칸으로 나뉠 수 있을까?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는 각각의 비둘기 칸에는 더 작은 칸이 있고, 그 작은 칸 안에는 또다시 더 작은 칸이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가장 큰 칸에 넣는 것은 어렵지 않다. 예를 들어 잎과 뿌리가 있는 것은 '식물'이라는 큰 분류 칸에 안심하고 넣을 수 있고, 귀를 갖고 있으며 이빨로 물 수 있는 생물은 당연히 '동물..
2022.10.04